Design Domain-2
프로덕트 디자인의 핵심, 문제정의와 사용자 정의
프로덕트 디자인 프로세스 프레임은 크게 문제 정의 / 해결 방법 / 사용자 정의로 이루어집니다. 이 과정에서는 문제가 무엇인지, 어떻게 해결하면 되는지, 어떤 고객이 좋아하는지 파악합니다. 문제 정의와 사용자 정의가 프로턱트 디자인 프로세스에서 중요한 이유는, 서비스 개발의 초기 단계에서 후속 설계 작업을 방향성 있게 맞출 수 있어 커뮤니케이션 비용이 절약되어 효율적인 진행이 가능합니다.
문제를 정의해보기
크게 시장 문제 정의와 우리 제품의 정의로 나뉩니다. 먼저 시장 문제는 ‘시장에 문제가 있는데 그것을 해결해야 할것 같을 때’ 진행합니다. 보통 새로운 아이템을 찾을 때 창업팀이 주로 진행합니다. 제품 문제는 ‘우리 제품 성장이 멈췄는데 문제는 이것 같다’ 라고 느낄 때 진행합니다. 보통 성장하고 있는 제품을 더 성장 시켜야 할 때 진행합니다. 물론 물론 서비스는 0과 1이 아닌 딱 어디라고 정의할 수 없는 스펙트럼 어딘가에 위치합니다.
시장 문제 해결 프로세스: 시장에서 경험하는 문제가 무엇인지 정의를 하고, 어떻게 해결하면 되는지 해결 방법을 모색한 후, 이 해결 방법을 사용하면 어떠한 고객이 좋아하는지 사용자 정의를 하여 마무리합니다.
제품 문제 해결 프로세스: 시장 문제 프로세스와 다르게, 이 방법을 사용하면 어떤 고객이 좋아하는지 사용자 정의를 먼저 진행한 후 시장 혹은 제품 문제를 정의합니다. 그 후 어떠한 방법으로 해결해야 하는지 방법을 모색하여 마무리합니다.
서비스 사용자를 찾기
서비스 사용자를 찾는 로직은 ‘어떤 행동을 얼마나 자주 하는 어떤 스타일 사용자’ 로 정의됩니다. 크게 어떤 행동을 하는데, 얼마나 자주 몇 번이나 하면서, 어떤 성향을 가진 사용자인지의 형태로 이루어집니다.
A 어떤 행동을 하는지: 사용자 행동 패턴을 정의하는 것으로 어떤 것을(What) + 어떻게 하는지(How)로 이뤄집니다.
B 얼마나 자주 하는지: 추상적인 표현을 구체화하고, 수치화하면서 진행합니다. 적절한 기준을 세워 그 속에서 비교, 분석합니다. 예를 들면 1주일이라는 기준에서 세 번을 진행한다는 구체적인 수치를 통해 얼마나 자주 하는지 알아볼 수 있습니다.
C 그 행동을 왜 & 어떤 목적으로 하는지: 행동을 하는 이유, 목적에 대한 설명입니다. 예를 들면 “체형관리를 위해”, “신용카드 포인트를 위해” 등이 목적이 될 수 있습니다. 행동의 이유와 목적에 따라 제품의 도메인이 될 수 있습니다.
사용자 최종 요약
실제 작업을 위한 사용자 정의 과정에서는 사용자를 얼마나 구체적으로 정의하는지가 중요합니다. 정의가 완료되면, 핵심 키워드를 정의하고 추출하는 단계가 필요합니다. 이를 통해 명확한 사용자 프로필을 기반으로 효과적인 커뮤니케이션과 설계 작업을 진행할 수 있습니다.
*핵심 키워드를 정의하고 추출할 때, AI툴을 사용하여 시나리오와 시각화를 통해 사용자 정의를 도울 수 있습니다.
마치며
문제 정의와 사용자 정의는 프로덕트 디자인의 큰 축이 되는 중요한 단계입니다. 문제를 명확히 하고 사용자 행동을 분석하여 기획 초기 단계에서부터 효과적인 설계를 위한 방향성을 설정할 수 있습니다. 시장 문제와 제품 문제를 각각의 프로세스를 통해 접근하고, 사용자 시나리오를 시각화하는 과정으로 사용자 요구를 정확히 파악하여 프로덕트 디자인 설계를 진행합니다.